네트워크 스위치 - 3부 - SAN 스위치의 정의와 기능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전 "L3 ~ L7 기능과 백본 스위치, 공유기" 글에 이어 "SAN 스위치의 정의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SAN 스위치의 정의 -

e13e283d185a9df6e48e77334d01931e_1724126950_2979.png
 



먼저 SAN스위치에 대해 알아보기전에

SAN(Storage Area Network)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AN은 FC(Fiber Channel), ISCSI(Internet SCSI) 프로토콜을 이용해

DAS와 같이 서버에 종속되는 블록 스토리지(Block Storage)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입니다.

 

SAN 스위치는 FC SAN 전용 스위치이며, 

네트워크 스위치와는 다르게 스토리지와 서버의 연결만을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SAN 스위치 관리 하에

하나의 스토리지를 여러 서버에 연결하거나, 여러개의 스토리지를 하나의 서버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FC SAN은 HBA(Host Bus Adapter) 카드와 Gbic(Gigabit Interface Converter), 광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8Gbps,16Gbps, 32Gbps의 고성능, 저지연성 연결을 지원합니다.  

 


- 조닝(zoning) -

e13e283d185a9df6e48e77334d01931e_1724127342_1021.png

SAN 연결을 위해서는 WWN과 Zoning에 대해 알아야 하며,

SAN 네트워크 내에서 논리적인 연결을 구성하는 것이 Zoning 기능이고 그 기초가 되는 것이 WWN이라는 개념입니다. 


SAN 네트워크 내의 모든 장비(HBA 및 디스크장치에 탑재된 Raid Controller 등)는 중복이 없는 고유한 WWN (World Wide Name)을 가지며

WWN은 WWPN(World Wide Port Name)과 WWNN (World Wide Node Name)으로 구성됩니다.

 

Zoning이란 SAN 스위치에서 서버와 스토리지 간의 연결 권한 부여를 의미하며

WWPN을 이용한 Zoning을 WWN Zoning이라 하고 WWPN 없이 SAN 스위치의 지정된 포트를 Zoning하는 것을 Port Zoning이라 합니다. 

 

두 조닝 방법은 각각 장단점을 갖고 있으며


WWN Zoning의 경우

장점은 SAN 스위치의 어느 포트에 장비를 연결하더라도 저장된 WWN을 통해 기존과 동일하게 통신이 가능한 점이며

단점은 각 장비의 WWN 확인이 필요하며, HBA 카드 고장 등에 의해서 WWN이 바뀔 경우 다시 설정해주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Port Zoning의 경우

장점은 WWN 확인 없이 스토리지와 서버를 연결할 수 있는 점이며 

단점은 SAN 스위치의 포트 고장 등에 의해서 포트를 옮길 경우 조닝을 다시 설정해주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렇게 Zoning을 통해 서버와 스토리지를 연결할 수 있지만

주의할 점은 여러 서버에서 하나의 스토리지를 "공유"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하나의 스토리지를 여러 서버에서 이용하는 경우 스토리지의 공간들을 여러개로 나누고, 각 공간을 특정 서버에 종속시켜야 합니다.

e13e283d185a9df6e48e77334d01931e_1724128325_2382.png



- 멀티패스 -

e13e283d185a9df6e48e77334d01931e_1724640063_2298.PNG
 

멀티패스란 SAN 네트워크에서 1대의 서버가 2개 이상의 경로로 하나의 스토리지와 연결하는 방법으로

Windows OS에서는 MPIO 기능으로 제공하며

Linux 에서는 multipath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멀티패스를 통해 이중화 구성이 가능하여

스토리지의 컨트롤러, HBA, SAN 스위치 등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경로를 통해 운영 중단을 막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1부 L7 계층 및 L1 ~ L2 스위치 기능

2부 L3 ~ L7 기능과 백본 스위치, 공유기

3부 SAN 스위치의 정의와 기능

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인프라 구축 시, 환경에 맞게 스위치를 구축해야 과소비를 하지 않고 올바른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