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안녕하세요!
IT 인프라 전문 기업 ㈜테온입니다.
지난 글에서는 “FTP 서버 대신 NAS 이용”에 대해 소개해드렸는데요.
오늘은 윈도우 PC·서버의 공유폴더(SMB)를 통해 데이터를 공유하는 기업들이
왜 NAS로 전환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윈도우 공유폴더, 이렇게 쓰고 계시죠?
사내에서 흔히 쓰이는 방식은 이렇습니다.
-
한 대의 윈도우 서버나 직원 PC에 D:\공유 폴더를 생성
-
SMB(파일 탐색기)로
\\PC이름\폴더명
형태로 접속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고,
초기 비용이 들지 않아 매력적입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한계에 부딪히죠.
⚠️ 윈도우 공유폴더의 한계
문제점 | 상세 설명 |
---|---|
❌ 속도 저하 | 접속 인원이 많아질수록 PC 성능과 네트워크에 부하 |
❌ 보안 관리 어려움 | 권한 설정·외부 접근 제어가 복잡 |
❌ 전원 의존 | 공유 PC가 꺼지거나 재부팅되면 접속 불가 |
❌ 백업 부재 | 정기 백업·자동 복구 기능 없음 |
❌ 로그 부족 | 누가 어떤 파일을 열었는지 확인 어려움 |
❌ 장애 대비 미흡 | RAID 등 데이터 보호 기능 없음 |
단기적으로는 간편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데이터 유실·보안 사고 가능성이 큽니다.
NAS로 전환하면 달라집니다
1️⃣ 365일 24시간 안정 운영
-
전용 스토리지로 항상 ON
-
전원 자동 복구, RAID 구성으로 장애 시 데이터 보호
2️⃣ 윈도우 방식 그대로 + 더 강력한 설정
-
기존 SMB 방식 지원
-
사용자·부서별 접근 권한 손쉽게 설정
-
FTP, HTTP 등 다양한 접근 프로토콜 지원
3️⃣ 백업·복구 완비
-
스냅샷, 버전 관리, 자동 백업
-
클라우드·외장하드·타 NAS로 백업 가능
-
랜섬웨어 피해 최소화
4️⃣ 접속·활동 로그 기록
-
누가 언제 어떤 파일에 접근했는지 추적
-
보안 감사 및 이상 징후 탐지
5️⃣ 모바일·외부에서도 안전 접속
-
VPN, HTTPS 보안 통신
-
스마트폰·태블릿 전용 앱 지원
-
DDNS로 고정 주소 제공
윈도우 공유폴더 vs NAS 비교
구분 | 윈도우 공유폴더(SMB) | NAS(네트워크 스토리지) |
---|---|---|
운영 안정성 | 공유 PC·서버 전원에 의존, 재부팅 시 중단 | 24/365 상시 운영, 전원 자동 복구 기능 |
데이터 보호 | RAID 미지원, 장애 시 복구 어려움 | RAID, 스냅샷, 버전 관리로 데이터 보호 |
보안 | 권한 설정 복잡, 외부 접근 제어 한계 | 사용자·부서별 권한 손쉬운 설정, VPN·HTTPS 지원 |
백업 | 기본 기능 없음, 별도 설정 필요 | NAS 간·클라우드·외장 저장장치 백업 지원 |
접속 편의성 | 내부망 위주, 모바일·외부 접속 불가 | PC·모바일·웹 어디서나 안전 접속 가능 |
로그 관리 | 파일 접근 기록 추적 어려움 | 접속·활동 로그 자동 기록 및 분석 |
확장성 | 용량·기능 확장 제한적 | 필요 시 스토리지·앱·기능 확장 용이 |
유지보수 | OS·하드웨어 관리 필요 | GUI 기반, 원격·자동 업데이트 지원 |
NAS 도입, 테온이 함께합니다
㈜테온은 다양한 기업 환경에서 NAS 기반 파일 공유 시스템을 구축해온 스토리지·인프라 전문 기업입니다.
✔️ 초기 설계부터 권한 구조, 백업 정책까지 맞춤 설계
✔️ Synology, QNAP, Infortrend 등 다양한 NAS 브랜드 지원
✔️ 장애 발생 시 원격·현장 기술지원 가능
저희 테온은 단순 장비 설치가 아닌 기업 맞춤형 파일 공유 환경을 제공합니다.
-
- 다음글
- 파일 공유 FTP 서버, 고쳐 쓰지 말고 NAS로 전환하세요!
- 25.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