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은 서버, 스토리지와 같은 IT 하드웨어 구동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해야 되는 공간인
전산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산실이 없을 경우!
사무실 전산 장비로, 개인 PC와 공유기만 이용하는 작은 기업이라도
전산실 관련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통 아래와 같은 공유기 관련 문제가 많죠.
1. 공유기가 어디에 있는지 찾기도 힘든 경우.
2. 공유기 선 관리가 안되는 경우.
3. 공유기를 여러 개 사용하는데 어떤 공유기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모르는 경우.
이렇게 작은 공유기 하나만 이용하더라도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산실의 역할!!
위의 예시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는 것이 전산실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그럼 이제 전산실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데이터 관리와 보안
전산실은 기업의 중요 데이터 유출, 손상, 분실 등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한 저장 및 관리 공간을 제공해야 합니다.
전산실에 보안 시스템을 배치하여 전산실 내부와 외부 분리 및 데이터 보안을 강화해야 하며 백업 시스템을 갖추어 데이터 손상 및 분실에 대비합니다.
또한, 각종 시스템의 계정과 라이센스를 관리해야 합니다.
2. 자원 관리
전산실은 모든 IT 자원이 집중되는 장소인 만큼,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부서 및 프로젝트에 VM, 서버, NAS 등의 필요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렉 장비나 공간 단위에 전력이 부족하지 않도록 배분해야 합니다.
각 IT 장비에서도 CPU, 메모리, 디스크 공간, 네트워크 대역을 모니터링하고 조정합니다.
3. 유지 보수
전산실은 신규 도입보다 기존 시스템에 대한 유지 보수 업무가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문제 발생 시의 대응 프로세스와 문제 해결 방안을 보유하여 신속하게 조치하고 해결해야 합니다.
에어컨이나 항온항습기로 온도, 습도를 조절하여 IT 장비 구동에 최적의 환경을 만들고 장비 노후화에 대한 체크 및 대비를 주기적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4. 스케일 업과 유연성 확보
기업이 성장함에 따라 IT 자원도 자연스럽게 확장되며 그에 따른 문제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IT 자원이 늘어나며 공간 부족, 전력 부족, 공조 시스템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기업은 전산실을 통해 이러한 문제에 유연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5. 비즈니스 연속성 확보
전산실은 기업의 비즈니스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시스템 이중화, 시스템 모니터링, 부하 분산, UPS 등을 도입하여 다운타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등의 전산실 내부 IT 자원을 안정적으로 운영하여 기업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특히 회사 외부(타 업체, 고객)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라면 서비스가 멈추는 일이 발생해서는 안 되므로 재해 복구 계획과 같은 비즈니스 연속성 전략을 마련해야 합니다.
6. 규정 준수
특정 산업에서는 데이터 보호와 관련된 규정을 준수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서비스라면 ISMS-P와 같은 규정을 준수해야 하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A와 같은 공공기관에서 제시하는 규정이나 장비 및 사람의 출입을 통제하는 등의 규정을 준수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테온에서 생각하는 전산실의 단계!!!
위처럼 다양한 역할이 있다고 해도 모든 역할을 다 수행해야 하는 것도 아니고
전산'실'이 꼭 큰 공간이나 방이어야 하는 것도 아닙니다.
편의를 위해, 기업의 어떠한 공간에 서버가 있다면 그냥 전산실이라 지칭하기도 하고
IT 장비가 보관된 수납장이나 작은 공간을 전산실이라 지칭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 이제, 저희 테온의 엔지니어들이
중소기업부터 공공, 대기업까지의 기술 지원을 통해 경험한 전산실들을
제일 작은 공간부터 데이터 센터까지 단계별로 나누어 공유해 보겠습니다.
첫 번째 단계
사무실에 공유기, 컴퓨터 외에 IT 장비가 없어
공유기만 설치된 장소입니다.
전산실이라 지칭하기 힘들지만
공유기와 네트워크 케이블의 위치 확인과 관리를 위해 전산 공간으로 인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째 단계
서버나 NAS 스토리지를
사무실 구석, 자주 안 쓰는 공간, 작은 렉에 두는 장소입니다.
이 단계부터 직원분들이 임의로 전산실이라 지칭하기도 합니다.
방진(먼지) 관리, 선(전원, 네트워크) 정리, 소음, 공간 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처음 장소 선정 시나 장비 도입 시, 위 사항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 번째 단계
IT 장비를 여러 대 보유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을 위해 큰 렉 장비를
하나의 방이나 사내의 큰 공간에 배치합니다.
온도 조절을 위해 에어컨이 필수로 배치되어야 하며
여러 장비가 동시에 가동하므로 전력 공급에 문제가 없도록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IT 장비 도입 초기부터 케이블 정리 및 렉 공간을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네 번째 단계
전산실을 위해 사내 혹은 외부에 큰 공간을 만들거나
데이터센터를 임대하는 경우입니다.
IT 장비의 발열과 부식 문제를 관리하기 위해
에어컨보다는 항온 항습기를 이용합니다.
참고로, 국가 정보 자원 관리원에서 권장하는 전산실의 환경은
온도 23도 ~ 27도, 상대습도 30% ~ 50%입니다.
또한, 먼지나 모래 등에 의한 IT 장비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방진 설비를 구축하며
원활한 전력 공급을 위해 산업용 플러그를 이용합니다.
케이블 공사!!!!
전산실의 케이블과 배선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케이블 공사는 2가지가 있습니다.
바닥 공사는 Access floor라고 하며
전력 및 통신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한 2중 바닥 구조를 말합니다.
천장 공사는 메쉬 트레이(mesh tray)라고 하며
천장에 금속 재질의 와이어를 메쉬 형태로 설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IT 장비들이 이미 도입되어 Access floor 공사가 어려운 경우에 설치합니다.
케이블 공사를 통한 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케이블 관리와 정리
케이블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케이블이 엉켜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IT 장비에 연결된 케이블을 찾기가 수월해지므로 유지 보수나 업그레이드 작업 등을 진행할 때 쉽게 접근하고 점검할 수 있습니다.
2. 통풍과 냉각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케이블의 발열을 줄일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냉각은 장비의 수명을 연장하고 성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3. 안정성
케이블이 지면에 놓여 있지 않으므로, 사람이나 물건이 걸려 넘어지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습니다.
4. 효율적인 공간 활용
렉 장비의 배치가 깔끔해져, 전산실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5. 미관 개선
케이블이 정리된 상태로 설치되면 전산실의 전반적인 외관이 깔끔해 보입니다.
이는 장비나 작업 공간의 전문성을 더해 주며, 방문객이나 고객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전산실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다음글
- 안정적인 클라우드 데이터 저장 서비스, Synology C2 Object Storage
- 24.09.23